88

최근 30분간 동시 방문자 수를 표시합니다. (~)

최고 동시 방문자 수 -
어제: 0명 / 오늘: 0명

React 핵심 패턴

React 핵심 패턴

info

이 글은 Vite로 시작하는 React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설명합니다.

# JSX 컴포넌트 구조

React 프로젝트에서 단일 .jsx 파일을 컴포넌트(Component)라고 부릅니다.
다음과 같은 기본 구조를 가지며, 컴포넌트 이름은 일반적으로 파스칼 케이스로 작성합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1
2
3
4
5
export default function 컴포넌트이름() { return ( // 템플릿(Template) ) }

React 17버전부터는 타입을 사용할 때 컴포넌트 상단에 import React from ‘react’ 코드를 명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일부 프로젝트의 개발 도구나 환경에 따라 해당 코드 명시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JSX fragment

React 컴포넌트는 여러 최상위 요소를 지정할 수 없습니다.
다음과 같이 하나의 최상위 요소(<div>)만 지정해야 합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return ( <div> <header>HEADER</header> <main>MAIN</main> <footer>FOOTER</footer> </div> ) }

하지만 이것은 다음과 같이 요소들을 이중으로 묶는 불필요한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HTML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body> <div id="root"> <div> <!-- 불필요한 div 요소 --> <header>HEADER</header> <main>MAIN</main> <footer>FOOTER</footer> </div> </div> </body>
출력된 결과.

컴포넌트의 최상위 요소로 JSX fragment(<></>)를 사용하면, 별도의 요소를 생성하지 않고 여러 요소를 묶어 하나의 자식 요소처럼 출력할 수 있습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return ( <> <header>HEADER</header> <main>MAIN</main> <footer>FOOTER</footer> </> ) }

이제 다음과 같이 출력합니다.

HTML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body> <div id="root"> <!-- 중간 div 요소 없음 --> <header>HEADER</header> <main>MAIN</main> <footer>FOOTER</footer> </div> </body>
출력된 결과.

만약 JSX fragment에 속성을 지정해야 하는 경우, 명시적으로 <Fragment> 컴포넌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import { Fragment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return ( <Fragment key={'123'}> <header>HEADER</header> <main>MAIN</main> <footer>FOOTER</footer> </Fragment> ) }

# 데이터 보간

컴포넌트 템플릿(Template)에서 {} 기호를 사용해 데이터를 쉽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간법(Interpolation)이라고 부릅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1
2
3
4
5
6
7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name = 'ParkYoungWoong' return ( <h1>Hello, {name}!</h1> ) }

템플릿의 {} 기호 사이에서 간단한 표현식(Expressio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count = 1 const getFullName = (firstName, lastName) => `${firstName} ${lastName}` return ( <> <h2>{count + 7}</h2> <h2>{getFullName('YoungWoong', 'Park')}</h2> </> ) }

# 반응형 데이터

React에서 데이터가 변경될 때 그것이 연결된 화면(View)도 같이 변경되는 것을 데이터의 반응성(Reactivity)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데이터를 반응형 데이터(Reactive state)라고 부르며, 줄여서 반응형이라고도 합니다.
다음과 같이 useState 함수를 사용해 반응형 데이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1
2
3
4
5
6
7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 반응형 데이터 선언 const [데이터이름, 데이터변경함수] = useState(기본값) // 반응형 데이터 변경 데이터변경함수(변경할값)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increment = () => { setCount(count + 1) } return ( <> <p>현재 카운트: {count}</p> <button onClick={increment}>카운트 증가</button> </> ) }

# 이벤트 핸들링

템플릿에서 on 키워드와 이벤트 이름을 조합해 요소의 속성으로 작성하고 실행할 함수를 연결합니다.
on 키워드와 조합된 이름은 onClick, onKeyDown과 같이 카멜 케이스로 작성해야 합니다.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1
2
3
4
5
6
<div on이벤트이름={실행할함수}></div> // 예시 <div onClick={handler}></div> <div onChange={handler}></div> <div onKeyDown={handler}></div>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increment = () => { setCount(count + 1) } return ( <> <p>현재 카운트: {count}</p> <button onClick={increment}>카운트 증가</button> </> ) }

# HTML Class 바인딩

class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예약어(Reserved words)이므로 JSX 템플릿에서는 HTML 속성(Attribute)으로 class 대신 className을 사용해야 합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App.css'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active, setActive] = useState(false) return ( <> <h1 className={`btn ${active ? 'active' : ''}`}>Hello world!</h1> <button onClick={() => setActive(!active)}>Toggle class name!</button> </> ) }
/src/App.css
CSS
content_copy
L
L
L
1
2
3
.active { color: red; }

여러 클래스 이름을 데이터 여부로 출력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불린 데이터를 기반으로 클래스 이름이 적용될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App.css'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btn, setBtn] = useState(false) const [active, setActive] = useState(false) const [size, setSize] = useState(false) const getClassNames = names => Object.keys(names) .filter(name => names[name]) .join(' ') const classNames = getClassNames({ btn, active, size }) return ( <> <h1 className={classNames}>Hello world!</h1> <button onClick={() => setBtn(!btn)}> Toggle 'btn' </button> <button onClick={() => setActive(!active)}> Toggle 'active' </button> <button onClick={() => setSize(!size)}> Toggle 'size' </button> </> ) }
/src/App.css
CSS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btn { border: 4px solid; } .active { color: red; } .size { font-size: 16px; }

# HTML Style 바인딩

style 속성으로 인라인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객체 데이터로 작성할 수 있으며, 자바스크립트 표기법에 맞게 낙타 표기법(camelCase)로 CSS 속성(Properties)을 작성해야 합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size, setSize] = useState(16) const styles = { fontSize: `${size}px`, // 동적(dynamic) 값은 반응형 데이터로 관리합니다! fontWeight: '700' // 정적(static) 값은 별도의 CSS 파일로 관리하는 게 좋습니다. } return ( <> <button onClick={() => setSize(size + 3)}> Size up! </button> <button onClick={() => setSize(size - 3)}> Size down! </button> <p style={styles}> Hello world! </p> </> ) }

# 조건부 렌더링

# 논리 연산자

조건에 따라 템플릿(HTML)을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습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message, setMessage] = useState('') return ( <> <input value={message} onChange={e => setMessage(e.target.value)} /> {message.trim() && <div>입력된 내용이 있어요~</div>} </> ) }

# 삼항 연산자

조건에 따라 각자 다른 템플릿을 출력합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isActive, setIsActive] = useState(false) const toggle = () => { setIsActive(!isActive) } return ( <> {isActive ? <h1>활성화 - {String(isActive)}</h1> : <h1>비활성화 - {String(isActive)}</h1>} <button onClick={toggle}>토글</button> </> ) }

# 더 복잡한 조건

조건에 따라 출력할 템플릿이 2개 이상인 경우, 표현식이 아닌 구문(Statement)을 템플릿에 직접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별도 함수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 const renderStateMessage = () => { if (state === 'loading') { return <h2>로딩 중입니다.</h2> } else if (state === 'success') { return <h2>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h2> } else { return <h2>대기 중입니다.</h2> } } return ( <> <button onClick={() => setState('loading')}> 로딩! </button> <button onClick={() => setState('success')}> 성공! </button> {renderStateMessage()} </> ) }

# 리스트 렌더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목록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변경사항이 있을 때 React가 반응성(Reactivity)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반복되는 각 요소에 key 속성과 함께 항목별 고유한 값을 작성해야 합니다.
key 속성의 고유한 값은 일반적으로 문자나 숫자 데이터를 권장합니다.

warning

객체나 배열 데이터는 가변하는 참조형(Reference type)이므로, React가 key 속성을 통해 반응성을 관리할 수 없습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fruits = ['사과', '바나나', '체리'] const renderFruits = fruits.map((fruit, index) => ( <li key={index}>{fruit}</li> )) return ( <> <h1>과일 리스트</h1> <ul>{renderFruits}</ul> </> ) }

별도의 함수를 만들지 않고 다음과 같이 템플릿에 직접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fruits = ['사과', '바나나', '체리'] return ( <> <h1>과일 리스트</h1> <ul> {fruits.map((fruit, index) => ( <li key={index}>{fruit}</li> ))} </ul> </> ) }

# 계산된 데이터

useMemo 함수를 사용해 데이터가 변경될 때 그것을 기반으로 자동 계산되어(Computed) 업데이트되는 별도의 데이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기반 데이터는 반응형이어야 합니다!

JSX
content_copy
L
L
L
L
1
2
3
4
import { useMemo } from 'react' // 계산된 데이터 선언 const 계산된데이터 = useMemo(() => 새로운값, [기반데이터])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mport { useState, useMemo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double = useMemo(() => count * 2, [count]) return ( <> <h1>count: {count}</h1> <h2>double: {double}</h2>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증가</button> </> ) }

# 데이터 감시

useEffect 함수를 사용해 데이터가 변경될 때 그것을 감시(Watch)하여 자동으로 실행되는 함수(콜백)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감시할 데이터는 반응형이어야 합니다!

JSX
content_copy
L
L
L
L
1
2
3
4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 데이터 감시 선언 useEffect(실행할함수, [감시할데이터])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useEffect(() => { console.log('count 값이 변경되었습니다:', count) }, [count]) return ( <> <h1>카운트: {count}</h1>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증가</button> </> ) }

만약 useEffect 함수 콜백이 최초 렌더링 시 2번 연속으로 실행되는 경우, <React.StrictMode>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고려하세요.
이것은 프로젝트의 문제를 감지하고 경고해주는 도구로 의도적으로 2번의 렌더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개발 모드에서만 활성화되고 빌드 결과(제품)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니 제거해도 좋습니다.

/src/main.js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import App from '~/App'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render( // <React.StrictMode> // <App /> // </React.StrictMode> //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render( <> <App /> </> )

# 양식 입력 바인딩

input이나 textarea 같은 양식(Form) 요소와 React의 반응형 데이터를 연결하는 여러 패턴의 예제를 소개합니다.

# 텍스트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text, setText] = useState('') return ( <> <input value={text} onChange={(e) => setText(e.target.value)} /> <h2>{text}</h2> </> ) }

# 여러 줄 텍스트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text, setText] = useState('') return ( <> <textarea value={text} onChange={(e) => setText(e.target.value)} /> <pre>{text}</pre> </> ) }

# 수정 가능 요소

일반 요소는 contenteditable 속성을 통해, 수정 가능 요소로 만들어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HTML
content_copy
L
1
<div contenteditable>Content!</div>

하지만 React에서 이 속성을 사용하면, 가상 DOM 충돌, 이벤트 점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문제가 대부분 해결된 react-contenteditabl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BASH
content_copy
L
1
npm i react-contenteditable

<div>, <br/> 같은 요소를 통해 줄바꿈 처리를 하므로, 입력된 값이 없으면 내용을 비웁니다.
placeholder 속성 대신 aria-placeholder 속성을 사용해 힌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CSS 코드를 같이 제공해야 합니다)

T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import { useRef, useState } from 'react' import ContentEditable from 'react-contenteditable'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ref = useRef<HTMLElement>(null) const [text, setText] = useState('') function onChange() { if (ref.current && !ref.current.textContent) { setText('') } } return ( <> <ContentEditable innerRef={ref} html={text} onChange={onChange} aria-placeholder="텍스트를 입력하세요!" /> </> ) }
CSS
content_copy
L
L
L
L
1
2
3
4
[contenteditable]:empty::before { content: attr(aria-placeholder); color: #aaa; }

# 단일 체크박스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checked, setChecked] = useState(false) return ( <> <label> <input type="checkbox" checked={checked} onChange={(e) => setChecked(e.target.checked)} /> 동의합니다. </label> <h2>동의 여부: {checked ? '예' : '아니오'}</h2> </> ) }

# 다중 체크박스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checkedItems, setCheckedItems] = useState([]) const handleCheckboxChange = event => { const { value, checked } = event.target checked ? setCheckedItems([...checkedItems, value]) // 체크한 경우 : setCheckedItems(checkedItems.filter((item) => item !== value)) // 체크 해제한 경우 } return ( <> <p>좋아하는 음식을 모두 골라보세요~</p> <label> <input type="checkbox" value="사과" checked={checkedItems.includes('사과')} onChange={handleCheckboxChange} /> 사과 </label> <br /> <label> <input type="checkbox" value="바나나" checked={checkedItems.includes('바나나')} onChange={handleCheckboxChange} /> 바나나 </label> <br /> <label> <input type="checkbox" value="체리" checked={checkedItems.includes('체리')} onChange={handleCheckboxChange} /> 체리 </label> <br /> <h2>{checkedItems.join(', ')}</h2> </> ) }

# 라디오 버튼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text, setText] = useState('') return ( <> <label> <input type="radio" value="사과" checked={text === '사과'} onChange={(e) => setText(e.target.value)} /> 사과 </label> <label> <input type="radio" value="바나나" checked={text === '바나나'} onChange={(e) => setText(e.target.value)} /> 바나나 </label> <h2>{text}</h2> </> ) }

# 단일 선택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selected, setSelected] = useState('') return ( <> <select value={selected} onChange={e => setSelected(e.target.value)}> <option value="">선택하세요</option> <option>사과</option> <option>바나나</option> <option>체리</option> </select> <h2>{selected}</h2> </> ) }

# 다중 선택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selected, setSelected] = useState([]) const handleChange = event => { const { options } = event.target const newSelected = [] Array.from(options).forEach((option) => { if (option.selected) { newSelected.push(option.value) } }) setSelected(newSelected) } return ( <> <select multiple value={selected} onChange={handleChange} style={{ width: '100px' }}> <option>사과</option> <option>바나나</option> <option>체리</option> <option>오렌지</option> <option>딸기</option> </select> <h2>{selected.join(', ')}</h2> </> ) }

# 템플릿(요소) 참조

document.querySelector를 통해 요소를 검색하지 않고, 대신 useRef 함수를 사용해 템플릿(요소)을 바로 참조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기본값(Default value)은 요소를 찾지 못한 결과를 의미하는 null을 사용합니다.
참조 요소는 다음 예제의 inputRef.current와 같이 current 속성으로 확인합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mport { useRef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inputRef = useRef(null) return ( <> <input type="text" ref={inputRef} /> <button onClick={() => inputRef.current.focus()}>포커스!</button> </> ) }

# 컴포넌트

# 생명주기 훅

input 요소가 화면에 보이면 자동으로 포커스(Focus) 하기 위해 다음 예제와 같이 작성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것은 React 컴포넌트의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동작하는 시점(Created)과 템플릿이 화면에 렌더링 되는 시점(Mounted)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import { useRef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inputRef = useRef(null) // input 요소에 포커스! // Error - cannot read properties of null (reading 'focus') inputRef.current.focus() return ( <> <input type="text" ref={inputRef} /> </> ) }

다음과 같이 useEffect 함수를 사용하면, 템플릿이 화면에 렌더링 된 후 함수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useEffect 함수는 데이터를 감시할 때도 사용하지만, 이렇게 ‘화면 준비 후’에 실행될 함수를 작성할 때도 사용합니다.
단, 감시할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두 번째 인수는 빈(Empty) 배열입니다.

JSX
content_copy
L
L
L
1
2
3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useEffect(실행할함수, [])

이제 잘 동작합니다!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import { useRef, useEffect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inputRef = useRef(null) // 화면이 준비되면, input 요소에 포커스! useEffect(() => { inputRef.current.focus() }, []) return ( <div> <input type="text" ref={inputRef} /> </div> ) }

만약 다음과 같이 useEffect 함수의 두 번째 인수로 배열을 전달하지 않으면, 반응형 데이터 갱신 등의 영향으로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 될 때마다 콜백이 실행됩니다.
일반적인 경우에 추천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JSX
content_copy
L
L
L
L
1
2
3
4
//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Rerendering) 될 때마다 콜백이 실행 useEffect(() => { console.log('count 값이 변경되었습니다:') })

# 부모와 자식 컴포넌트

컴포넌트는 다른 컴포넌트를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져온 컴포넌트는 나의 자식 컴포넌트라고 부르며, 나는 자식의 부모 컴포넌트라고 부릅니다.
다음 예제에서 TextField.jsxApp.jsx의 자식 컴포넌트이고, App.jsxTextField.jsx의 부모 컴포넌트입니다.
HTML 요소의 부모/자식 관계 개념과 같습니다.

/src/components/TextField.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1
2
3
4
5
6
7
export default function TextField() { return ( <> <input type="text" /> </> ) }

Vite 프로젝트에서는 가져오기 경로의 .jsx 컴포넌트 확장자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import TextField from './components/TextField'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return ( <> <TextField /> <TextField /> <TextField /> </> ) }

# Props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반응형 데이터, 함수 등)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전달하는 데이터 혹은 그 속성을 Prop이라고 부릅니다.

/src/components/TextField.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export default function TextField({ label = '', hint = '', value, onChange }) { return ( <div style={{ marginBottom: '10px' }}> <label> {label && `${label}::`} <input type="text" value={value} onChange={e => onChange(e.target.value)} /> </label> {hint && ( <div style={{ marginTop: '4px', fontSize: '11px' }}> {hint} </div> )} </div> ) }

다음과 같이 컴포넌트(<TextField>)를 사용할 때, HTML 속성(Attribute)처럼 작성해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TextField from '@/components/TextField'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name, setName] = useState('') const [age, setAge] = useState('') const [email, setEmail] = useState('') return ( <> <TextField name="이름" hint="한글 이름을 입력해야 합니다." value={name} onChange={setName} /> <TextField name="나이" hint="만 나이를 입력해야 합니다." value={age} onChange={setAge} /> <TextField name="이메일" value={email} onChange={setEmail} /> <div> 이름은 {name}이고 나이는 {age}세이고 이메일은 {email}입니다! </div> </> ) }

# 폴스루 속성

컴포넌트에서 Props로 정의하지 않았지만, 컴포넌트를 사용할 때 작성한 속성을 폴스루 속성(Fallthrough props)이라고 부릅니다.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TextField from '@/components/TextField'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email, setEmail] = useState('') return ( <> <TextField label="이메일" value={email} onChange={setEmail} placeholder="이메일을 입력해주세요." name="Email" minlength="5" maxlength="24" autocomplete="email" required /> </> ) }
Props로 정의하지 않는 여러 속성을 사용

다음과 같이, 전개 연산자(Spread operator, ...)를 사용해 나머지 매개변수(Rest parameters)로 폴스루 속성을 원하는 요소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src/components/TextField.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export default function TextField({ label = '', hint = '', value, onChange, ...restProps }) { return ( <div style={{ marginBottom: '10px' }}> <label> {label && `${label}:`} <input {...restProps} value={value} onChange={e => onChange(e.target.value)} /> </label> {hint && ( <div style={{ marginTop: '4px', fontSize: '11px' }}> {hint} </div> )} </div> ) }
...restProps

# 슬롯

컴포넌트의 템플릿 특정 위치에 다른 컴포넌트나 요소를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을 슬롯(Slot)이라고 합니다.
children이라는 약속된 Prop을 사용해 슬롯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src/components/Button.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export default function Button({ children, loading = false, ...restProps }) { return ( <button className={loading ? 'loading' : ''} {...restProps}> {children} </button> ) }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Button from '@/components/Button'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loading, setLoading] = useState(false) return ( <> <Button>취소</Button> <Button loading={loading}>확인</Button> </> ) }

# CSS 모듈(module)

특정 컴포넌트의 스타일을 개별적인 CSS 파일로 만들어 연결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모듈이 아니기 때문에 전역으로 적용되어, 선택자만 일치하면 의도치 않게 엉뚱한 다른 컴포넌트 요소에 스타일이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다음 예제는 Hello.jsx를 위해 작성한 스타일(Hello.css)이 World.jsx에도 적용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src/components/Hello.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1
2
3
4
5
import './Hello.css' export default function Hello() { return <h1 className="title">Hello</h1> }
/src/components/Hello.css
CSS
content_copy
L
L
L
1
2
3
.title { color: red; }
/src/components/World.jsx
JSX
content_copy
L
L
L
L
1
2
3
4
export default function Hello() { // 빨간색 글자 색상이 적용됨! return <h1 className="title">World</h1> }
/src/App.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import Hello from '~/components/Hello' import World from '~/components/World'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return ( <> <Hello /> <World /> </> ) }

World.jsx의 .title 요소에도 스타일이 적용 zoom_out_map
World.jsx의 .title 요소에도 스타일이 적용

React에서는 효율적으로 스타일을 관리하기 위해, 각 컴포넌트에만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스타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Hello.css 파일 이름을 Hello.module.css로 수정하면, 특정 컴포넌트에서만 유효한(Scoped) 스타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info

화면에 출력하면, .title 선택자가 ._title_7f5lv_1과 같이 새로운 선택자로 바뀌어 적용되는데, _7f5lv_1과 같이 선택자에 추가되는 접미사를 스타일 해시(Style Hash)라고 합니다.

/src/components/Hello.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1
2
3
4
5
import styles from './Hello.module.css' export default function Hello() { return <h1 className={styles.title}>Hello</h1> }
/src/components/Hello.module.css
CSS
content_copy
L
L
L
1
2
3
.title { color: red; }

Hello.jsx의 .title 요소만 스타일이 적용 zoom_out_map
Hello.jsx의 .title 요소만 스타일이 적용

# SCSS 구성

Vite 프로젝트는 sass 패키지만 설치하면, 별도 구성 없이도 바로 Sass 혹은 SCS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SCSS 중첩(Nesting) 문법을 사용하면, 훨씬 유연하게 스타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BASH
content_copy
L
1
npm i -D sass
/src/components/Hello.jsx
JSX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import styles from './Hello.module.scss' export default function Hello({ message = '' }) { return ( <> <h1 className={styles.title}> <span>Hello</span> Component~ </h1> <p className={styles.message}> {message} </p> </> ) }
/src/components/Hello.module.scss
SCSS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title { font-size: 40px; span { font-weight: bold; color: royalblue; } } .message { font-size: 20px; opacity: .7; }

# 전역 스타일

만약 모듈 안에서 일부 전역 스타일을 적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global 선택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rc/components/Hello.module.css
CSS
content_copy
L
L
L
L
L
L
L
L
L
L
L
1
2
3
4
5
6
7
8
9
10
11
.title { font-size: 40px; span { font-weight: bold; color: royalblue; } } :global .message { font-size: 20px; opacity: .7; }